본문 바로가기

▤ 해외여행

중국 여행정보

안녕하세요.

일본에 이어 최근 더욱 가까워지고 있는 나라 중국입니다.

일본의 과거사 문제로 인해 양국이 가까워 지고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엄청나게 따라오고? 넘어서는 나라이기도 하죠~



중국은 하나의 국가라고 말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다양성을 지닌 나라이다. 중국인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56개의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민족을 품고 있으며 5000년이 넘는 장구한 역사 속에는 수많은 나라들이 거쳐갔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만리장성이나 자금성, 병마용 등은 이러한 유서 깊은 역사가 남긴 빛나는 인류의 유산이다. 러시아와 캐나다에 이어 세계 3위의 광대한 국토를 보유해 풍부한 자원을 자랑하며 다양한 기후와 자연의 모습들을 지니고 있다. 
21세기로 들어 오면서 중국은 공산국가로 대표되는 구 시대적 이미지를 벗어버리고 도약기를 맞고 있다. 이제 그들은 세계 최대의 인적 자원과 광대한 국토와 그 땅에서 나오는 물질적 자원들을 바탕으로 세계 최강의 국가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 세계의 중심을 뜻하는 '중화'를 실현시키려는 듯하다.


최근 봄이되며 중국발 미세먼지, 황사에 대한 이슈가 뜨거운데요 실제 중국 내륙에는 더 심한 황사와 미세먼지가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답니다.



중국 인구는 현재 12억을 넘어서 13억을 바라보고 있다.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는 중국 정부는 인구의 급속한 증가를 막기 위해 한족(漢族)에 한해 1가구 1자녀 정책을 펴고있다. 하지만 이런 정책의 역효과로 농촌 지역에서는 호적에 오르지 못한 아이들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감춰진 아이라는 의미의 흑해자(黑孩子, 헤이하이즈: 남아선호 사상에 따라 주로 여자아이들이 흑해자가 된다 )들이 생겼다. 반면,가정마다 자녀가 한 명 밖에 없기에 아이들을 마치 황제처럼 모신다고 하여 외동 딸 외동아들을 가리켜 소황제(小皇帝 샤오황띠)라고 일컫기도 한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인구 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2025년에는 중국 인구가 15억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차
한국 표준 시차(GMT+9)보다 1시간 늦다. 한국이 오후 3시면 중국은 오후 2시다.

언어
일반적으로 한어(漢語)로 불리는 중국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이며 표준어를 보통화(普通話)라고 한다. 중국에는 지역에 따라 방언이 심해 중국인 사이에서도 의사소통이 안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최근에는 정부차원의 표준 보통화 사용 운동으로 표준어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통화
인민폐(RMB) 단위는 원(元, 위엔=塊), 각(角, 지아오=毛), 분(分, 펀)이다. 1元=10角=100分 1元 이하 단위는 동전과 지폐가 함께 사용되는데, 특히 남방 지역으로 갈수록 동전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그리고 갈수록 分 단위의 사용이 사라지고 있다. 그 외의 지폐는 5원, 10원, 50원, 100원짜리로 구분되며, 규모가 있는 상점에는 위조지폐 구별을 위한 기계가 있어서 100원짜리 지폐를 제시할 경우 기계에 대고 판별을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물가
생수 1병(500ml) = 1~2위엔(元) 
콜라 1병(1.25L) = 5위엔(元)
맥도날드, KFC 셋트메뉴 18~22위엔(元) 

전압
중국내 전압은 일반적으로 220V이며 여행객이 많이 이용하는 호텔등에선 콘센트도 한국과 동일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혹시 우리 나라의 전기제품들과 맞지 않는 경우엔 호텔 카운터에서 어댑터를 빌려 사용하거나 여행시 건전지를 이용하는 제품을 휴대하면 된다.



화장실
중국의 화장실에는 화장지가 준비되어 있지 않는 곳이 많고 공중화장실에서는 문이 없는 곳도 있다. 북경, 상해를 포함한 대도시에서는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이외 지방도시에서는 여전히 불편한 점이 많다. 유료화장실에서는 화장지를 주기는 하나 질이 안좋고, 가격은 보통 5자오 정도인데 관광지마다 값이 틀릴수 있다.

전화
중국의 국제전화는 한국에 비해 비싸다. 따라서 현지 직통전화보다는 국제전화카드를 이용하거나 수신자부담 서비스(Collect Call)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저렴하다.
☞ 한국에서 중국으로 직통전화
- 중국 집전화번호로 걸 때: 001(또는 002, 00700 등) + 86(중국 국가번호) + 지역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전화번호
- 중국 핸드폰번호로 걸 때: 001(또는 002, 00700 등) + 86(중국 국가번호) + 핸드폰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중국 도시 지역번호 : 북경-1/상해-21/장춘-431/남경-25/곤명-871/무한-27
☞ 중국에서 한국으로 직통전화
- 한국 집전화번호로 걸 때: 00 + 82(한국 국가번호) + 지역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전화번호
- 한국 핸드폰번호로 걸 때: 00 + 82(한국 국가번호) + 핸드폰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한국으로의 수신자부담 이용전화
북방지역 108-8825 + 1111 + # 를 누르면 한국교환원 연결
남방지역 10-800-1-400-688 + 1111 + # 를 누르면 한국교환원 연결
* 상해를 기준으로 북방/남방으로 나누어 진다.
☞ 로밍서비스 : 로밍 서비스는 자동로밍과 임대로밍으로 나눠지는데, 자동로밍은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의 설정만 바꿔서 사용하는 것이고 임대로밍은 공항 로밍서비스센터 등에서 로밍전용폰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자동로밍의 경우 본인의 휴대폰에서 '휴대폰 관리'나 '제어판'에서 로밍 시스템을 선택하면 서비스 가능 국가에서는 바로 통화가 가능하다. 임대료를 따로 지불할 필요없이 통신사마다 달리 지정된 통화료만 내면 되는데, 이때는 한국에서와는 달리 전화를 받을 때도 요금을 내야한다. 요금이 꽤 비싼 편이므로 요금표를 꼭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휴대폰이 로밍서비스가 되지 않을 때는 공항에서 해당 통신사의 로밍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문의하면 된다.

주요 전화번호
☞ 범죄자신고 110
☞ 전화번호안내 114
☞ 화재신고 119
☞ 긴급구조신고 120
☞ 날씨예보 121
☞ 교통사고신고 122
☞ 우편번호안내 184



한국인 주요 기관 연락처
- 주중(駐中) 한국대사관 
주소 : No.3, 4th Avenue East San Li Tun, Chaoyang District, Beijing 100600, china 
전화 : 86-10-6532-0290 
팩스 : 86-10-6532-0141 
이메일 : webmaster@koreanembassy.cn 
홈페이지 : www.koreanembassy.cn 

- 주북경 총영사관 : 86-10-6532-6774 / 6775
- 주상하이 총영사관 : 86-021-6295-5000 / 6295-2639 
- 재중국 한인회 : 86-10-8454-5770
- KOTRA : 86-10-6505-2324 


중국 국가기관 연락처
- 북경시 공안국 : 6522-5050 www.mps.gov.cn 
- 북경시 공안국 외국인 관리처 : 6404-7799 
- 북경시 공안국 출입국 관리소 : 010-8401-5295 

대한항공 중국지점
* 예약(전지역 동일):40065-88888 (중국지역) / +86-40065-88888 (해외) 
0532-8378-7024(로밍폰 사용시)

- 북경 86-10-6505-0089
- 천진 86-22-2319-0088
- 하얼빈86-451-230-9025 
- 상해 86-21-6275-6000
- 청도 86-532-387-0088
- 심양 86-24-2287-0088
- 삼아 86-899-828-9184/5

아시아나 중국지점
* 예약(전지역 동일): 4006-50-6000

- 북경 86-10-6468-4000
- 상해 86-21-6219-4000
- 장춘 86-431-894-8948
- 광주 86-20-8760-9037
- 하얼빈 86-451-234-4000
- 연대 86-535-662-8000
- 계림 86-773-285-8985
- 서안 86-29-870-3405
- 중경 86-23-2383-3908

인터넷
중국에는 현재 대도시를 중심으로 수많은 PC방이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PC방이 20-30대의 컴퓨터가 설치된 소규모 수준으로 가격은 시간당 3위안에서 비싼 곳은 6위안까지 한다. 가격은 지역별로 차이가 나며 속도도 요즘들어 인터넷 전용선이 대도시를 시작으로 보급단계에 있기 때문에 그리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북경이나 상해 등의 대도시에서도 한국 유학생이나 주재원 들의 밀집 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PC방에서는 한글 지원이 되는 PC를 몇 대씩 보유하고 있다. 

공휴일
1. 양력 1월 1일: 元旦 (위엔단/신정)
2. 음력 1월 1일: 春節 (춘지에/구정)
3. 양력 5월 1일: 劳动节 (라오동지에/국제 노동절)
4. 양력 10월 1일 : 国庆节(궈칭지에/ 국경절-중화인민공화국 건립기념일)

구정과 노동절, 국경절의 법정휴일은 3일씩이지만 주말에 근무를 하고 휴일을 대체하기 때문에 보통 연이어 7일에서 10일 정도씩 쉰다. 이때는 중국 내 관광도 최대 성수기를 맞기 때문에 이 시기에 여행을 계획할 경우 관광지마다 몰리는 인파를 대비해야 한다. 

- 양력 3월 8일: 妇女节(푸뉘지에/국제 부녀절) ※ 여성만 반나절 휴일
- 양력 5월 4일: 青年节 (칭녠지에/청년의 날) ※ 14세 이상 청년만 휴일
- 양력 6월 1일: 儿童节 (얼통지에/국제 어린이날) ※ 13세 이하 어린이만 휴일
- 양력 7월 1일 : 建党日 (지엔당르/중국 공산당 창당일)
- 양력 8월 1일 : 建军日 (지엔쥔르/중국 인민 해방군 건군일)

※ 공휴일로 지정되지 않은 민속 명절
- 음력 1월 15일 : 元宵节(위엔시아요지에/원소절)
- 음력 8월 15일 : 中秋节(중치우지에/ 추석)




'▤ 해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여행정보  (1) 2014.03.28
태국 여행정보  (1) 2014.03.28
일본 여행정보  (0) 2014.03.28
싱가포르 여행정보  (0) 2014.03.28
베트남 여행정보  (0) 2014.03.28